중소기업 소상공인 추가 정책자금 25년 5월 최신
정부가 경기 침체와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총 4조 2000억 원 규모의 추가 정책자금을 공급합니다. 이로써 2025년 전체 정책자금 규모는 30조 7000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기존 예산(26조 5000억 원)보다 16%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번 조치는 특히 미국의 관세 강화, 내수 침체, 자연재해 피해 등 대내외 변수로 인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긴급한 수요를 고려한 것입니다.
전체 자금 공급 개요
항목 | 금액 | 주요 내용 |
기존 정책자금 | 26조 5000억 원 | 연초 확정된 본예산 |
추가경정 예산 (추경) | 4조 2000억 원 | 긴급 대응 목적 |
총 공급 규모 | 30조 7000억 원 |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
신청 방법과 일정 안내
자금 구분 | 신청처 | 접수 시작일 |
중소기업 정책자금 | 중진공 누리집 | 5월 14일부터 (상시접수) |
소상공인 정책자금 – 직접대출(신용취약, 혁신성장) | 소상공인진흥공단 | 6월 2일부터 (미리 준비) |
소상공인 정책자금 – 대리대출(일반경영안정) | 민간은행 | 7월 1일부터 (미리 준비) |
중소기업을 위한 특별 지원 방안 (총 1조 7000억 원)
중소기업들은 특히 수출 시장의 불확실성과 관세 리스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정부는 다양한 형태의 정책금융을 추가 제공합니다.
세부 자금 항목 | 금액 | 특징 |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 1000억 원 | 미국 수출 비중이 큰 기업 대상, 6년 상환(연장 가능), 낮은 금리 적용 |
긴급경영안정자금 | 3000억 원 | 경영난 겪는 기업 및 산불 피해 기업 대상, 최대 10억 원 지원 |
신시장진출지원자금 | 1000억 원 | 수출국 다변화, 신시장 개척 위한 자금 |
이외에도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특례보증으로 1조 2000억 원 규모 유동성을 빠르게 공급합니다. 대상 기업은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위기 산업과 AI, 방산, 조선 등 기회 산업에 포함된 중소기업입니다.
보증유형 | 보증비율 | 보증료 감면 |
직접 피해기업 | 최대 95% | 최대 0.4%p 감면 |
간접 피해기업 | 최대 90% | 최대 0.3%p 감면 |
(2025년 4월 시행) 햇살론 119, 폐업지원 대환대출, 소상공인 119 PLUS 등 은행권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 살펴보기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안전망 강화 (총 2조 5000억 원)
자금 조달이 특히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는 민간 금융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자금을 지원합니다.
자금 종류 | 금액 | 주요 내용 |
일반경영안정자금 | 1400억 원 | 업력 관계없이 신청 가능, 최대 7000만 원 |
신용취약자금 | 2400억 원 | 신용점수 839점 이하, 최대 3000만 원 직접대출 |
혁신성장촉진자금 | 1200억 원 | 최대 10억 원까지 지원, 일반형·혁신형 구분 |
또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 원 규모의 신규 보증을 추가 공급하며, 이는 본예산 보증 공급(12조 2000억 원)을 포함해 총 14조 2000억 원 규모입니다.
소상공인 택배, 직접배달 30만원 지원
마무리
이번 추경은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회복력 있는 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책금융을 통한 지원이 필요한 분들은 빠르게 각 사이트를 통해 신청하시고, 자격 요건 및 세부사항은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관련 부서에 문의해보세요:
중소벤처기업부: 044-204-7526, 7707
소상공인진흥공단: 044-204-7844
